지난해 테라-루나 사태와 FTX의 붕괴로 촉발된 ‘크립토 윈터’가 길어지고 있다. 암호화폐 시장에서는 올해 뚜렷한 상승세를 보인 코인들도 있다. 반대로 급락한 암호화폐도 있다.

올해 주목할 상승, 하락세를 보인 알트코인에는 어떤 암호화폐가 있을까?

2023년 주요 투자 자산의 변동은 비트코인(연초 대비, YTD 66.8% 상승), 나스닥(YTD 37.0% 상승), 알트코인 시가총액(YTD 15.56% 상승), 텍사스 중질유(YTD 12.9% 상승), S&P500(YTD 12.3% 상승), 금(YTD 0.08% 하락)의 순서였다.

미국 정부의 긴축, 기준 금리 상승 움직임에도 투자 시장은 하락 일부를 회복했다. 비트코인(Bitcoin, BTC)은 주식과 원자재 시장 대비 강한 상승을 보였으며, 알트코인 시가총액은 상승과 하락이 엇갈리며 기술주 위주 구성된 나스닥 대비 상승세가 약했다.

블록미디어가 올해 주목할 움직임을 보인 암호화폐를 정리했다. 선정된 암호화폐는 연초부터 시장 거래가 발생했으며, 시가총액 400위 내에 드는 암호화폐다.

#2023년의 위너
1. Pendle(PENDLE), 디파이
연초가: 0.0464 달러
현재가: 0.72 달러 / 시가총액 기준 227위
상승률: 연초 대비 1443% 상승
– 펜들(PENDLE)은 금리스왑 마켓을 통해 이용자들이 미래 수익률의 토큰화 및 거래를 가능케 한 프로토콜이다. 자산 시장 옵션 및 포지션 활용 기회를 제공해 투자자들에게 미래 수익에 대한 더 다양한 전략을 제공한다.

2. Injective(INJ), 디파이
연초가: 1.2835달러
현재가: 7.7달러 / 시가총액 기준 57위
상승률: 연초 대비 496% 상승
– 인젝티브(INJ)는 맞춤형 디파이 탈중앙 거래소 토큰이다. 거버넌스 및 플랫폼 활용에 활용된다. 인젝티브는 중앙 주체 없이 완전 탈중앙화된 구조로 운영하는 것을 목표하며, 선물 및 파생상품 거래 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3. Render(RNDR), 인공지능, 컴퓨팅
연초가: 0.4108 달러
현재가: 1.74 달러 / 시가총액 기준 58위
상승률: 연초 대비 324% 상승
– 렌더(RNDR)는 이더리움 기반 구축된 분산 GPU 렌더링 네트워크다. 마이닝 업체들이 보유한 GPU 컴퓨팅 능력의 기업체나 개인 대상 대여 및 중개를 목표로 런칭됐다. 올해 인공지능 관련 이슈들이 주목받으며 과거부터 GPU 활용을 목표해 온 RNDR에 시장 관심이 몰렸다.

KR. Wemix(WEMIX), 게이밍
연초가: 0.3599 달러
현재가: 1.04 달러 / 시가총액 기준 217위
상승률: 연초 대비 190% 상승
– 위믹스(WEMIX)는 위메이드 자체 메인넷에서 활용되는 토큰이다. 플랫폼에 온보딩된 게임 자산과의 교환, NFT 거래, 디파이 서비스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지난해 유통량 이슈로 국내 원화 지원 거래소에서 일괄 거래 지원이 종료되며 급락했지만, 올해 코인원 재상장 및 플랫폼 확충을 이어가며 가격을 일부 회복했다.

#2023년의 루저
1. Blur(BLUR), NFT
연초가: 0.81 달러 (3월 1일 기준)
현재가: 0.18 달러 / 시가총액 기준 144위
하락률: 연초 대비 77.8% 하락
– 블러(BLUR)는 NFT 거래소 Blur의 거버넌스 토큰이다. 플랫폼 이용자 대상 토큰 에어드롭을 진행해 NFT 시장 거래 점유율을 높이는 데 성공했다. 한국 시간 10월 3일 기준 지난 1개월 거래량은 약 10만 8000 ETH로, 2위인 오픈씨 4만 5462 ETH를 크게 웃도는 상황이다. NFT 시장 전체 거래량 및 관심이 줄어들며 토큰 BLUR가 함께 하락했다.

2. ApeCoin(APE), NFT
연초가: 3.63 달러
현재가: 1.2 달러 / 시가총액 기준 75위
하락률: 연초 대비 66.7% 하락
– 에이프코인(APE)은 유가랩스의 NFT 콜렉션 지루한 원숭이 요트 클럽(Bored Ape Yacht Club, BAYC)에서 유래한 거버넌스 및 유틸리티 토큰이다. 토큰 보유자들은 NFT 콜렉션에서 발생하는 수익원 관리에 참여, 생태계 내 서비스 등에 APE를 활용할 수 있다. 올해 NFT 대상 시장 관심이 하락하며 토큰 APE 역시 함께 하락했다. BAYC의 바닥가(ETH 기준)는 연중 67.7% 하락했다.

3. Terra(LUNA), 메인넷
연초가: 1.27 달러
현재가: 0.46 달러 / 시가총액 기준 139위
하락률: 연초 대비 63.5% 하락
– 테라(LUNA)는 테라 클래식을 기반으로 하는 퍼블릭 블록체인의 네이티브 토큰이다. 현재 테라 블록체인은 알고리즘 스테이블 코인 UST의 몰락으로 테라 생태계가 붕괴되며 스테이블코인을 분리해 새롭게 탄생한 생태계다. 기존 테라 생태계 디앱들이 마이그레이션하며 성장 기대가 모였지만, 실질적인 개발 사례가 이어지지 않아 하락세가 이어졌다.

KR. Marblex(MBX), 게이밍
연초가: 1.12 달러
현재가: 0.6 달러 / 시가총액 기준 349위
하락률: 연초 대비 46.3% 하락
– 마브렉스(MBX)는 국내 게임사 넷마블이 런칭한 플랫폼 유틸리티 토큰이다. 대형 게임사가 출시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기대감을 키웠지만, 게이밍 분야 관심 하락과 실질 적용 사례 부족이 겹치며 하락세가 이어졌다. 최근 링게임즈 등 블록체인 게임사와 협력하며 온보딩 게임 확대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