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니스 간추린 뉴스

logo
자유게시판

코인니스 간추린 뉴스

김연희 0

) 리플, 페이스북에 '블록체인 결제 도입' 제안


리플 재단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새로운 시장에서 사업을 확장하고, 성공적으로 자금화(Monetization) 전략을 전환하고 싶다면, 블록체인 결제를 도입하면 된다"고 밝혔다. 해당 트윗은 페이스북 공식 트위터 계정을 태그하며, 동시에 마크 주커버그 페이스북 창업자의 사진을 업로드했다.


 


) 印 정부, 암호화폐 규제 법안 초안 실질 협의…차기 정부 논의 가능성


인도 현지 미디어 The Economic Times에 따르면, 인도 정부가 암호화폐 규제 법안 초안을 위한 실질적 협의에 들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미디어는 업계 소식통 인터뷰를 인용 "인도 당국의 '2019년 암호화폐 금지 및 디지털 화폐 규제 법안' 초안이 이미 관련 정부 부서에 배포됐다"고 밝혔다. 해당 법안 초안 작성은 수바시 찬드라 가르그(Subhash Chandra Garg) 인도 경제부장관이 담당했으며, 5월 말 총선 이후 차기 정부에서 논의할 가능성이 높다고 미디어는 보도했다. 한편 미디어는 익명의 한 정부 관계자를 인용, "경제부서(DEA), 국세청(CBDT), 관세·간접세 중앙위원회(CBIC), 투자자교육보호관리국(IEPFA) 등 다수 정책 부서가 인도 내 암호화폐 거래 및 발행 전면 금지를 지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 외신 "美 맨해튼 연방법원, 암호화폐=현금 여부 판결 앞둬"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CCN에 따르면, 미국 뉴욕주 맨해튼 연방지방법원이 '암호화폐를 현금으로 분류할 수 있는가?'에 대한 판결을 앞두고 있다. 이는 암호화폐라는 신흥 산업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수 있다는 게 CCN 측의 분석이다. 해당 사건은 JP모건 산하 체이스 뱅크가 신용카드 결제를 통해 제공하던 암호화폐 구매 서비스에 과도한 수수료를 부과했다며 피해를 입었다고 주장한 고객들이 지난해 4월 제기한 집단 소송이다. 이에 체이스 뱅크 측은 "암호화폐는 교환의 매개로 현금과 같은 기능을 하기 때문에 현금으로 분류할 수 있다. 유일하게 다른 점은 암호화폐가 디지털화 됐다는 것이다. 이에 따른 수수료 부과는 합당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편, 소송을 제기한 고객들은 "암호화폐는 상품으로 분류하는 것이 맞으며, 체이스 뱅크는 상품 구매에 과도한 수수료를 부과했다"며 JP모건 측과 대립하고 있다.


 


) 바이낸스 CFO "페이스북 블록체인, 중앙화 벗어나야"


야후 파이낸스에 따르면, 최근 저우웨이 바이낸스 CFO가 야후 파이낸스와의 인터뷰에서 "페이스북의 블록체인 비즈니스는 마크 저커버그 최고경영자(CEO)가 앞장서 지휘하는 한 그 미래가 밝지 않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페이스북의 블록체인 비즈니스 계획을 면밀히 들여다 보면, 그들은 블록체인을 통해 다른 사람들이 그들의 시스템에 접근하지 못 하도록 막는 게 목적같다"며 "그들의 의사결정은 한 사람에게 권한이 집중되어 있으며, 커뮤니티 주도형 조직과는 거리가 멀다"고 지적했다.


 


) 이탈리아 루이스대 경제학 교수 "암호화폐, 중앙은행 위협"


이탈리아 루이스(LUISS) 대학 피에르파올로 베니그노(Pierpaolo Benigno) 경제학 교수가 최근 영국 싱크탱크 경제정책연구소(CEPR)가 운영하는 인터넷 경제학 학술 매체 ‘복스(VOX)’에 기고문을 통해 "암호화폐가 인플레이션 억제 및 경제 활성화 등 중앙은행의 주요 기능을 위협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법정화폐는 암호화폐와의 '통화경쟁'(currency competition)을 통해 인플레이션을 완화하고 금리 및 가격 조작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지만, 교환의 매개(medium of exchange) 기능을 상실할 수 있어 사회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국경 없이 사용이 가능한 인터넷을 선호하게 된 것처럼 암호화폐의 출현은 중앙은행에게 큰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다. 중앙은행이 디지털 화폐 발행을 연구하고 있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덧붙였다.


 


) 비트파이넥스, BTC 숏 비율 지속 증가...60.67%


미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파이넥스의 마켓 데이터에 따르면, 해당 플랫폼의 BTC 마진 숏 포지션 비율이 지속 증가하며 현재 60.67%를 기록하고 있다. 앞서 지난 23일, 숏 포지션 비율은 1월 3일 이후 110일 만에 처음으로 50%를 넘어선 바 있다.


 


) 日 SBI 그룹 산하 암호화폐 거래소, 서비스 출시 1년 만에 이익 실현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재팬(jp.Cointelegraph)이 일본 SBI 그룹이 최근 발표한 올해 3월까지의 연간 실적을 인용, 암호화폐 거래소 VC트레이드(VCTRADE)의 운영사이자 암호화폐 거래소 SBI버추얼커런시(SBI Virtual Currencies)의 세전 이익이 322만 2,500 달러를 기록, 서비스 출시 1년 만에 이익을 실현했다고 보도했다. 한편 미디어에 따르면 SBI버추얼커런시는 최근 일본 내각회의에서 논의된 '금융상품거래법' 및 '자금결산법' 개정안에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경영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 비트파이넥스 측 관계자 “8.5억 달러 손실 은폐설, 일각에선 준비금 충분 의미로 해석”


26일 뉴욕검찰청이 비트파이넥스(Bitfinex)의 8억 5,000만 달러 손실 은폐 의혹을 제기한 이후 비트코인 시세가 하락세를 보인 가운데, 비트파이넥스가 공식 성명을 통해 “비트파이넥스와 테더는 재정적으로 강하다. 그 동안 테더는 준비금 미달, 회계 감사 등 투명성 관련 의혹을 받아왔지만 이번 사태 이후 일각에서는 오히려 테더가 충분한 준비금을 보유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비트파이넥스의 마케팅 총괄인 Kasper Rasmussen은 “테더 준비금은 시중에 유통 중인 USDT 수량과 같거나 많다. 게다가 100% 은행에 예치된 달러와 연계돼 발행된다. 최근 12시간 시세 현황으로 미뤄볼 때 암호화폐 시장이 조만간 회복세를 나타낼 것”이라고 말했다. 


 


) 더블록 “1.85억 달러 BTC·ETH, 비트파이넥스 콜드월렛 출금 정황 파악”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더블록(The block)이 토큰애널리스트(TokenAnalyst) 데이터를 인용, 26일 6시35분(GMT) 기준  8,900만 달러에 해당하는 1만 7,250 BTC가 비트파이넥스 BTC 콜드월렛에서 출금된 정황이 파악됐다고 전했다. 해당 지갑 잔액은 10만 2,285 BTC(약 5억 2,550만 달러)다. 동시에 비트파이넥스 보유 ETH 콜드월렛에서 9,600만 달러에 해당하는 63만 3,300 ETH가 출금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지갑 잔액은 162만 ETH(약 2억 4,560만 달러)다. 미디어는 해당 암호화폐가 비트파이넥스 소유 지갑으로 이체된 것인지, 비트파이넥스 고객이 개인 지갑으로 이체했는지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한편 앞서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는 뉴욕 검찰총장실이 비트파이넥스에 8억 5,000만 달러 규모 손실 은폐 의혹을 제기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비트파이넥스 측은 즉각 성명을 내고 뉴욕 검찰총장실이 제시한 증거는 사실이 아니며 해당 자금은 손실이 아닌 보호 받고 있는 압류 자금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비트파이넥스 측은 해당 자금을 되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비트파이넥스와 테더의 재무 상태는 양호하다고 강조했다.


 


) 美 온라인 여행사, ETH 결제 지원 예정


포브스에 따르면 미국 온라인 여행시 칩 에어(cheap)의 누적 비트코인 결제액이 500만 달러를 넘어섰다. 이와 관련해 제프 클리 칩 에어 CEO는 "조만간 이더리움을 이용한 비행기표 결제를 지원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해당 회사는 지난 2013년부터 비트코인 결제를 지원했다. 현재 BTC 외에도 대시, LTC 등을 지원하고 있다.


 

출처 : 코인니스 / Realtime Coin News/COINNESS KOREA


0 Comments
제목

카테고리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