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방준비제도, 블록체인 활용 결제 시범 운영

logo
자유게시판

미 연방준비제도, 블록체인 활용 결제 시범 운영

똥배팍팍 0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13일 블록체인의 프레임워크인 하이퍼렛저 패브릭(Hyperledger Fabric)을 활용해 2019년 수행한 분산형 대장기술(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DLT) 테스트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공개했다. 이를 코인포스트가 15일 보도했다.

「FooWire Project」라고 하는 명칭의 이 테스트 프로젝트는 DLT를 결제에 이용했을 경우를 상정.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연준은 실제 이용할 수 있는 잠재력을 내포하고 있지만, 아직 과제가 많음을 강조하고 리스크 및 약점을 파악하면서 향후에도 가능성을 연구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FooWire Project는 DLT가 결제 이용에 적합한지를 시험하는 프로젝트. Hyperledger Fabric을 선택한 이유는 허가형 블록체인 것, 기업용이라는 것, 또한 기술의 성숙도가 프로젝트 팀의 요건에 맞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 테스트에서 찾고 있는 것은 결제 이용에 있어서의 DLT의 가능성, 시스템을 실행하는 스피드, 스마트 컨트랙트의 심플함, 기능의 폭넓음이라고 한다. 또한 더 폭넓게 DLT를 이용할 수 있는지나, 어떤 DLT 플랫폼에서도 결제에 이용할 수 있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실험을 확대할 필요가 있는지도 조사하고 있다.

FooWire Project는 규모를 한정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참가자를 선택할 수 있는 허가형 블록체인을 활용하고 있다. 이 접근방식은 현재의 결제시스템에 맞춰 허가가 불필요한 네트워크보다 보안을 높일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FooWire Project의 네트워크에 참가하는 것은 중앙은행, 정부기관, 상업은행의 3개 조직이라고 가정.네트워크의 관리자는 계좌 작성이나 노드의 가동을 승인하는 권한을 가진다. 이동할 수 있는 자산은 「Funds」라고 불리는 가상의 자산만으로 하고 있다고 한다.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과 협업]

DLT 테스트뿐 아니라, 연준이 디지털통화(CBDC)에 특화된 리서치 프로젝트로 매사추세츠공대(MIT)와 협업하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MIT와 협업하고 있는 곳은 보스턴 연방준비은행. 이것은 수년에 걸친 프로젝트로, 중앙은행이 디지털 통화를 이용하는 경우를 상정한 테스트를 실시한다. CBDC를 이용할 때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평가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준의 라엘 브레나드(Lael Brainard) 이사는 이 협업으로 얻을 수 있는 결과는 공개한다고 하고, 개발되는 코드는 누구라도 이용할 수 있도록 오픈 소스로 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또한 과거 수년간, 내부에서 실험을 실시해 왔다고 말해 DLT의 가능성이나 리스크를 이해하기 위해서 폭넓은 DLT 플랫폼을 구축·실험해 왔다고 말했다.

CBDC 발행 여부를 최종 판단하는 쪽은 연준이 아니지만, 발행될 경우에 대비해 법규제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다른 소식 보기]

(米中央銀行の連邦準備理事会(FRB)は13日、ブロックチェーンのフレームワーク「Hyperledger Fabric」を活用して2019年に行った分散型台帳技術(Distributed Ledger Technology:DLT)のテストについて、詳細を公開した。)

출처 : https://coincode.kr/archives/35924

0 Comments
제목

카테고리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