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1일 ( 정오 ) 간추린 코인 뉴스

logo
자유게시판

7월 1일 ( 정오 ) 간추린 코인 뉴스

시덕이 0

)금융당국, '암호화폐 거래소 신고제' 딜레마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가 각국의 감독당국에 암호화폐 인허가 신고·등록 의무화를 전달하면서 금융위원회가 난감한 상황에 빠졌다고 뉴스토마토가 보도했다. 당국 관계자는 "이번 국제기준이 암호화폐를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계기가 될까봐 금융위가 난감해하고 있다"며 "거래소를 법제화 해도 문제고, 안해도 문제"라고 밝혔다. 거래소를 신고제로 전환하면 투자자들이 거래소를 합법적인 곳으로 인식해 투기를 부추길 수 있다는 설명이다. 그간 금융위, 법무부 등 정부는 암호화폐를 공식적인 투자자산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투기 성격이 강해 소비자 피해가 우려된다는 이유에서다. 최근에도 금융위는 암호화폐공개(ICO)를 계속 금지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암호화폐 거래소 신고제가 도입될 경우 자격 기준에 미달하는 부실 거래소는 줄줄이 폐업할 것으로 전망된다. 당국 관계자는 "예를 들어 암호화폐거래소법을 만들어 자본금 20억 등 기준을 마련하면 소수의 거래소는 살아남겠지만, 나머지 부실 거래소는 모두 문을 닫게 된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현재 금융위, 법무부 등이 총대를 메기 싫어 법제화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며 "하지만 법제화를 안해도 문제라서 상당히 고민하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 업비트 자체 암호화폐 인덱스, 블룸버그 등에 제공 추진


파이낸셜뉴스에 따르면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가 지난 1년 간 개발·운영해 온 자체 암호화폐 인덱스 UBCI(Upbit Crypto Index)를 공신력 있는 글로벌 금융 미디어들에게 제공하기로 했다고 6월 30일 밝혔다. 톰슨 로이터와 블룸버그 등이 유력 후보로 거론되는데 이를 통해 한국 암호화폐 시장의 국제적 신뢰도를 높이겠다는게 업비트의 전략이다. UBCI는 주식시장의 코스피·코스닥 지수와 유사한 개념으로, 업비트에 상장된 암호화폐의 거래와 가격 등에서 실시간 산출한 지수 체계를 바탕으로 암호화폐 시장의 거래 흐름을 수치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두나무 계량분석연구소 김대현 팀장은 "두나무는 2017년 10월 업비트 거래소 출시와 함께 인덱스 개발을 해왔다"며 "지난 1년 동안 UBCI를 통해 암호화폐 시장의 표준을 제시해 온 만큼, 향후 인덱스를 활용한 다양한 전략과 펀드 상품이 출시될 날이 멀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관측했다. 


 


) OKEx, 선물 분기물 상위 트레이더 롱·숏 비율 현황


1일 오전 9시 기준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OKEx의 BTC 선물 분기물 리더보드(포지션 보유량 TOP 100) 트레이더들의 BTC 롱 포지션 비율은 28.69%, 숏 포지션 비율은 15.73%를 기록했다. ETH 선물 분기물 리더보드 트레이더들의 롱·숏포지션 비율은 각각 20.21%, 10.64%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OKEx의 BTC 선물 포지션 규모는 4.19만 BTC로 전날 대비 소폭 증가했으며, ETH 선물 포지션 규모는 47.05만 ETH로 전날 대비 소폭 감소했다.


 


) ELF·BSV, 中 커뮤니티 간 대립 심화


엘프(ELF, 시가총액 80위) 재단 설립자 마하오보(马昊伯)가 지난달 30일 본인의 SNS 계정을 통해 'BSV와 크레이그 라이트를 몰아내자(抵制BSV哭泣假本聪)'라는 주제의 포스팅을 공유, 중국 암호화폐 커뮤니티의 관심을 끌었다. '리안린(李安嶙)'이라는 웨이보 사용자는 사진과 함께 "BSV 중국 커뮤니티가 해당 포스팅으로 인해 크게 반발했다"며 "심지어 'ELF를 종이쪼가리로 만들어 버리겠다(归零)'는 발언도 속출하고 있다"고 전했다.


 


) WTC "메인넷 공격 사전 감지... 업그레이드 완료"


왈튼체인(WTC, 시가총액 106위)이 미디엄을 통해 "왈튼체인 메인넷 업그레이드(하드포크)를 통해 결함을 복구했다"고 밝혔다. 왈튼체인은 코드 공격자가 블록 높이 175,368에서 많은 블록을 채굴할 계획이었으나 일주일 전 이 결함을 감지해 일부 코드를 다시 작성했다고 설명했다. 메인넷은 29일(UTC+8) 블록 높이 175,366에서 업그레이드 됐으며 채굴자들은 업데이트된 소스 코드를 다운로드하고 새 풀노드 지갑을 사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코인마켓캡 기준 WTC는 현재 3.83% 오른 1.48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 中 칭화대 교수 "리브라, 신 달러 패권 구축 도구"


뤄메이(罗玫) 칭화대 경제관리학원 디지털 금융 자산 리서치 센터 책임 교수가 중국 현지 미디어에 발표한 칼럼에서 페이스북 스테이블코인 리브라보다 더 개방적인 위안화 기반 블록체인 금융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해야하며, 이는 위안화가 (달러를) 추월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고 주장했다. 그는 (주로) 달러와 연동된 리브라가 발행되면 후진국의 법정화폐를 대체할 것이라고 내다봤으며, 28개의 초기 노드가 대부분 미국 대표 핀테크 기업들로, 2/3 이상의 노드를 장악하면 리브라 블록체인을 통제할 수 있어 거래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즉 리브라 프로젝트는 미국 금융 패권 유지를 위한 도구이자 새로운 달러 패권 구축을 위한 도구라는 주장이다. 바로 이 점이 리브라 백서 발표 이후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는 애매모호한 태도를 취한 반면 세계 각국 중앙은행은 반대를 한 이유라고 덧붙였다. 더불어 리브라의 주요 타깃인 은행계좌가 없는 전 세계 17억 인구, 이중에서도 휴대폰을 보유한 10억 명은 주로 일대일로(중국이 추진 중인 신실크로드 전략) 연선국가에 있다며 중국이 더 개방적인 태도로 신기술을 포용해 리브라보다 먼저 위안화 기반 블록체인 금융 프로젝트를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안토니 팜플리아노 "은행계좌 없는 사업체 증가, BTC 채택 가속화"


안토니 팜플리아노(Anthony Pompliano) 모건 크릭 디지털 에셋(Morgan Creek Digital Assets) 창업자가 트위터를 통해 "많은 비트코인 사업체들은 은행 계좌가 없어 직원 월급을 비트코인으로 지급하고, 비트코인으로만 대금을 받고, 투자자들에게 비트코인으로 투자금을 지급할 것을 요구한다"며 "이러한 추세가 강화되면서 비트코인 채택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 전문가 "플러스토큰 사건, 암호화폐 위탁 중앙화 문제 해결 시급"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BHEX의 최고경영자(CEO) 쥐젠화(巨建华)가 암호화폐 지갑 플러스토큰 출금 불가 사건에 대한 생각을 밝혔다. 그는 "플러스토큰 사건은 중앙화된 방식으로 탈중앙화 기반 암호화폐를 위탁하면서 발생한 보안 사건으로, 현재 대량의 암호화폐가 중앙화된 방식으로 위탁되고 있어 상당히 위험하다"며 "충분한 신용이 뒷받침돼 있지 않으면 이러한 모델은 블록체인, 암호화폐 업계에서 통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BHEX는 올해 말 Bluehelix 탈중앙화 위탁 청산 기술 기반 프라이빗 키 관리 시스템을 채택해 사용자의 위탁 자산 접근을 차단할 방침이다. 기술적으로 플러스토큰 같은 사건 발생을 막는 셈이다"라고 덧붙였다. 플러스토큰은 사용자가 위탁한 암호화폐를 전 세계 거래소에 투자해 월 최대 18%의 수익률을 보장하는 암호화폐 지갑으로, 현재 출금이 불가해 먹튀 의혹이 제기된 상황이다.


 


) 메사리 창업자 "비트코인 없애는 방법, 3가지 뿐"


암호화폐 리서치 기업 메사리(Messari) 창업자 라이언 셀키즈(Ryan Selkis)가 트위터를 통해 비트코인을 없앨 수 있는 방법은 오직 3가지 뿐이라고 말했다.


1. 주권 공격(보유 금지)


2. 주권 공격(채굴 중단+51% 공격)


3. 양자 컴퓨팅


이에 대해 자오창펑 바이낸스 CEO는 "아니, 그들은 비트코인을 공격할 순 있지만 암호화폐를 없앨 순 없을 것이다. (이 방법들은) 사람들 머리 속에나 있는 개념이지 실제로 이렇게 행할 사람은 없다"고 반박했다. 


 


출처 : 코인니스 / Realtime Coin News/COINNESS KOREA


87d93e4a87bc1904aeb5e68f82ff8173_1561964093_5695.jpg
 


0 Comments
제목

카테고리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