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이지영 기자] 지난달 반감기 이후 방향을 잃었던 비트코인이 20여 일만에 9000만원대에 진입했다. 이번 반등세가 1억 재돌파까지 이어질지 주목된다. 전문가들은 오는 11월 예정된 미국 대선을 올해 비트코인 가격 변곡점으로 봤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지난 15일(현지시간) 미국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둔화에 따라 저항선 6만5000달러를 돌파했다. 이후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원화 기준으로는 9280만원까지 치솟았다. 9280만원은 지난달 26일 이후 17일 만이다.

이번 반등세가 어디까지 뻗을지에 관심이 쏠린다. 비트코인이 미국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효과에 따라 지난 3월 11일 처음으로 1억원을 찍은 이후 두 달이 넘은 현재까지 그에 준하는 상승세를 재현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현물 ETF를 통한 자금 유입은 지난 3월 중순까지만 비트코인 가격을 견인했다.

현물 ETF 배턴을 이어받은 반감기 효과도 현재까지 없다. 오히려 비트코인은 올해 반감기 이후 더 떨어지면서 두 달여 만에 최저점을 기록하기도 했다. 지난달 20일 역사상 네 번째 반감기를 맞은 비트코인은 일일 채굴량이 900개에서 450개로 감소한 상태다.

이는 반감기 공급 감소 효과가 현물 ETF 수요 증가 효과를 넘어서지 못한 탓으로 풀이된다. 금융정보 플랫폼 파사이드 인베스터와 NH투자증권 등에 따르면 현물 ETF 출시 이후 비트코인에 유입된 일평균 자금은 1억3900만달러(1873억원)이며, 반감기 이후 감소한 일평균 채굴량은 2700만달러(363억원)다.

역사적 호재인 반감기도 힘을 쓰지 못한 상황에서 6개월 앞으로 다가온 ‘미국 대선’이 새로운 재료로 부상했다. 당선 결과와 무관하게 대선 이후 미국 정부 부채 이슈가 심화할 것이란 전망에서다. 실제로 트럼프와 바이든 대통령은 총 임기 8년동안 미국 전체 부채의 45%를 합작했다.

비트코인은 그간 미국 부채한도 협상 난항에 따라 미국 정부의 신용도가 흔들릴 때마다 상승 곡선을 그렸다. 비트코인이 탄생 이념인 ‘탈중앙화’를 기반으로 달러와 법정화폐를 헤지하기 때문이다.

홍성욱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전날 서울 여의도 본사에서 열린 ‘비트코인 반감기 대응전략 세미나’에서 “총 33차례의 반감기는 비트코인 탄생 시부터 예정된 이벤트로, 일정 부분 시장에 선반영됐을 가능성이 있다”며 “반감기 효과는 반감기가 거듭할수록 약화하고 있는 점도 염두에 둬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반감기 이후 하반기까지 뚜렷한 상승 이벤트가 없는 상황에서 미국 대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대선 이후부터는 가격이 부양될 이슈들이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알트코인 역시 미국 대선 이후 시점부터 본격적으로 오를 것이란 분석이다. 알트코인 대장주 ‘이더리움’의 현물 ETF 승인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의장 변경 이후 가능하다는 관측이 우세하기 때문이다. 현재 SEC 의장인 게리 겐슬러는 “이더리움이 증권에 해당한다”는 입장을 강경하게 고수 중이다.

특히 업계는 가상자산 찬성론자로 돌아선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될 경우 SEC 의장이 교체될 것으로 보고 있다. 가상자산에 부정적인 겐슬러와 긍정적인 트럼프가 서로 입장 차이를 확인했다는 점에서다.

홍 연구원은 “미국 대선에 따른 효과는 비트코인보다 이더리움이 더 누릴 수 있다”며 “대선 이후 SEC 의장 교체에 따라 이더리움 현물 ETF가 승인될 경우 알트코인 불장이 찾아올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jee0@newsis.com

속보는 블록미디어 텔레그램으로(클릭)

같이 보면 좋은 기사

비트코인 ETF, 1분기에 937개 기관 투자 유치—K33 리서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