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금융당국이 코인거래소 겨냥한 이유는[금알못]

입력
수정2023.06.12. 오전 9:51
기사원문
이지영 기자
TALK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SEC, 바이낸스 이어 코인베이스도 제소
겐슬러 의장 "가상자산 존재 필요 없어"


[서울=뉴시스]이지영 기자 = 최근 코인 시장이 크게 들썩였습니다. 미국 금융당국이 글로벌 대형 코인거래소 2곳을 잇달아 제소했기 때문인데요. 이를 두고 코인 시장을 누르려는 미국의 위협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는 진단이 나옵니다.

시작은 세계 최대 코인거래소 바이낸스였습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지난 5일(현지시간) 바이낸스를 상대로 소를 제기한 것인데요. SEC는 바이낸스 창업자인 자오창펑도 고발 범위에 포함했습니다.

소송은 거기서 그치지 않았습니다. 바이낸스 제소 하루 만에 자국 코인거래소인 코인베이스를 상대로까지 소송을 제기했는데요. 나스닥에 상장된 자국 기업이라 할지라도 코인을 다루는 거래소라면 매섭게 칼을 휘두르겠다는 것입니다.

미국 금융당국의 날 선 모습은 규제 강화를 넘어 존재 부정의 의도로까지 해석됩니다. 코인의 실체와 그 당위성을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것인데요.

실제로 게리 겐슬러 SEC 의장은 이런 의지가 담긴 발언을 내뱉기도 했습니다. 그는 최근 인터뷰를 통해 "달러·유로·위안화 모두 디지털화돼 있다. 추가적인 디지털 화폐는 필요하지 않다"며 "가상자산 존재 자체가 필요 없다"고 언급했습니다.

이번 SEC 소장에서도 해당 의지가 드러납니다. 결국은 가상자산을 별도의 디지털 화폐가 아닌 기존 '증권'으로 간주해 주식과 같이 규제하겠다는 입장인데요. SEC는 소장을 통해 바이낸스와 코인베이스 모두 "증권 관련 법률을 위반했다"고 지적했습니다.

나아가 이들을 뉴욕 증권거래소와 비교하며 비판하기도 했습니다. 겐슬러 의장은 "해외 가상자산 거래소 대부분이 심판 격인 거래소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파생상품 투자·펀드 등을 운용하고 있다"며 "전통 금융 시장에서 뉴욕 증권거래소가 헤지펀드를 운영하는 일을 본 적이 있냐"고 꼬집었습니다.

SEC 칼날을 계기로 가상자산의 증권성 논란은 더욱 확대될 전망입니다. 특히 SEC가 이번 바이낸스 제소를 통해 증권으로 명명한 가상자산 12종에 관심이 쏠리는데요. ▲바이낸스코인(BNB) ▲바이낸스USD(BUSD) ▲솔라나(SOL) ▲카르다노(ADA) ▲폴리곤(MATIC) ▲파일코인(FIL) ▲코스모스(ATOM) ▲샌드박스(SAND) ▲디센트럴랜드(MANA) ▲알고랜드(ALGO) ▲엑시인피니티(AXS) ▲코티(COTI)등이 증권으로 지목된 상태입니다.

아울러 시가 총액 30조원이 넘는 리플 또한 주목받습니다. 하반기 예정된 리플 판결에서 증권성이 인정된다면 SEC를 비롯한 전세계 당국의 가상자산 규제 강도는 훨씬 더 강화될 거라는 게 업계 관측입니다.

※ 인간의 중대 관심사인 돈의 흐름을 알기 위해서는 금융 지식이 필수입니다. 하지만 금리, 투자, 환율, 채권시장 등 금융의 여러 개념들은 어렵고 낯설기만 합니다. 그런 면에서 우리는 모두가 '금알못(금융을 알지 못하는 사람)'에 가까울지 모릅니다. 금융을 잘 아는 '금잘알'로 거듭나는 그날까지 뉴시스 기자들이 돕겠습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