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이 낸 등록금, 비트코인으로 불리는 명문대학들 [임현우의 비트코인 나우]

입력
수정2021.04.21. 오전 10:07
기사원문
임현우 기자
TALK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3> 아이비리그 기금, 가상화폐 투자설
미국 하버드대학교

미국 하버드대는 세계 최고의 수재가 모여드는 명문학교인 동시에 세계에서 가장 큰 대학기금을 굴리는 '투자 큰손'이기도 하다. 하버드대의 기금 운용액은 2019년 기준 409억 달러(약 45조 원)에 이른다. 하버드매니지먼트컴퍼니(HMC)라는 투자회사를 따로 두고 수백 명의 전문인력이 기금을 굴리고 있다. 주식부터 채권, 헤지펀드, 사모펀드, 부동산에 이르기까지 투자처도 다양하다.

하버드대와 라이벌 관계인 예일대도 비슷하다. 예일대가 보유한 기금은 2019년 303억 달러(약 34조 원) 규모로, 금융 전문가를 최고투자책임자(CIO)로 영입해 적극적으로 운용해 왔다.

이런 '아이비리그' 명문대들이 비트코인을 포트폴리오(투자상품 구성)에 새로 담은 것으로 알려져 눈길을 끌고 있다. 가상화폐 전문매체 코인데스크는 최근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하버드대, 예일대, 브라운대 등이 대학기금으로 가상화폐를 사들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코인데스크는 "대학기금의 가상화폐 투자는 2019년 중반에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며 "비중은 미미하지만 여러 대학기금이 가상화폐를 포트폴리오에 포함했다"고 전했다. 다만 이들 대학은 "개별 투자처는 공개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라는 등의 이유를 들어 사실 여부를 확인해주지 않았다.
3년 전에 이런 소리를 들었다면 믿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지금은 많은 기관투자자가 비트코인을 이해하고 있고, 직접 투자에 나서고 있다.
ㅡ 애리 폴 블록타워캐피털 공동창업자 (前 시카고대 CIO)
외신에 따르면 이들 대학기금은 미국의 유명 가상화폐거래소인 코인베이스 등을 통해 직접 투자되고 있다. 코인베이스는 최근 보고서에서 "지난해의 비정상적인 거시경제 환경(코로나19 사태)이 기금과 기업, 다른 장기 투자자들의 가상화폐 채택을 가속화시켰다"고 설명했다.

미국의 사립대학들은 기금 운용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올리고, 이를 장학금과 연구개발(R&D)에 투입하는 선순환 구조를 갖춘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등록금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다양한 금융상품에 투자하는 것이다.

다만 미국 대학기금들이 비트코인을 담은 것은 '실험적인 대체투자'의 일환이고, 그 이상 의미를 부여하긴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사진=뉴스1

가상화폐업계 관계자들은 "어찌됐든 한국에선 상상하기 힘든 일"이라고 했다. 가상화폐를 사실상 금기시하는 정부 기조에도 맞지 않고, 가격 급등락에 따른 손실 위험을 감수할 만한 재단도 없다는 이유에서다.

국내 대학들은 자금을 대부분 정기예금으로 쌓아두고 있다. 일부만 채권형·주식형 펀드, 원금보장형 주가연계증권(ELS) 등에 넣는데 그나마 수익률이 들쑥날쑥하다. 기금 운용 전담조직과 투자지침서(IPS)가 없는 대학은 20% 안팎에 달한다. 이렇다할 '운용' 자체를 하지 않으니 전문가를 둘 이유도 없기 때문이다.

임현우 기자 tardis@hankyung.com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국경제앱 다운받고 ‘암호화폐’ 받아가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프로필

TALK

응원의 한마디! 힘이 됩니다!

응원
구독자 0
응원수 0

평일 아침 8시! 유튜브 채널 <한경 코리아마켓>에서 그날 한국경제신문의 핵심 기사를 쉽게 읽어드립니다. tardis@hankyung.com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