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美 은행들 파산에도 비트코인 급등, 왜?

입력 : 2023-03-16 06:00:00 수정 : 2023-03-15 22:07:59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이틀 새 3400만원대까지 치솟아
전통 금융시스템에 대한 불안감
가상자산 투자 심리 자극 분석
美 금리인상 조절 기대감도 반영

가상자산 관련 미국 은행들의 파산에도 ‘대장주’ 격인 비트코인 가격이 이틀째 급등하고 있다. 13일 2700만원 대를 맴돌던 비트코인 가격은 다음날 오후 3443만원까지 25% 넘게 상승했다. 전통 금융시스템의 불안감이 가상자산시장 기대를 키웠고, 미국의 금리인상 조절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15일 가상자산 중계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비트코인 가격은 지난 13일 0시10분 2724만원에서 14일 오후 10시10분 3443만원으로 이틀간 상승곡선을 그렸다. 비트코인이 3400만원 대에 진입한 것은 지난해 6월 이후 9개월 만이다. 오후 1시30분엔 3226만원으로 조정을 받았다.

15일 강남구 빗썸고객센터 전광판에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 실시간 가격이 나오고 있다. 비트코인 가격은 1%이상 오른 3200만원대에서 움직이고 있다. 연합뉴스

최근 일주일 새 파산한 미국 실버게이트은행, 실리콘밸리은행(SVB), 시그니처은행은 모두 가상자산과 관련한 은행이었다. 악재가 불거졌지만 비트코인은 상승세를 이어갔다. 미국 재무부의 예금보호 조치로 급한 불이 꺼졌고 전통 금융시장에 대한 불안 심리가 비트코인 투자심리를 오히려 부추겼다는 분석이 나온다. 가상자산 전문업체 펀드스트랫의 신 폐럴은 “이번 비트코인 랠리는 투자자들이 중앙은행 시스템의 취약성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발생했다”고 내다봤다.

 

가상자산 거래소 코빗은 ‘SVB 사태와 가상자산 시장 전망’ 보고서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줄어든 것이 비트코인 상승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봤다. 코빗은 “연준의 긴축 사이클 종료가 가시화될수록 가상자산을 포함한 모든 위험자산 가격 상승 가능성이 커진다”며 “미국 달러 담보 기반 스테이블코인의 원활한 발행이 확보된다면 향후 점유율을 더욱 높여갈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달러와 가치가 일대일로 연동된 USDC의 패깅(가치유지)이 0.88달러까지 깨진 것은 시장 불안감으로 작용할 수 있다. 오재영 KB증권 연구원은 “직접적으로 스테이블코인의 디패깅(가치유지 실패)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크지 않으나 한동안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말 기준 국민연금공단이 보유하고 있던 SVB 주식과 채권은 총 1389억원어치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최혜영 의원이 국민연금으로부터 제출받은 SVB 투자 현황 설명자료에 따르면, 국민연금은 지난해 말 기준 SVB그룹 주식을 1218억원어치, 채권은 171억원어치 갖고 있었다.


안승진·이정한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르테미스 희진 '금발 여신'
  • 아르테미스 희진 '금발 여신'
  • 한소희 '시선 사로잡는 타투'
  • 송지우 '깜찍한 꽃받침'
  • 표예진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