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블코인 시총 1000억달러 돌파, 금융위기 도화선 될수도

입력
수정2021.06.18. 오전 9:25
기사원문
박형기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테더 로고 - 회사 홈피 갈무리

(서울=뉴스1) 박형기 기자 = 암호화폐(가상화폐) 거래가 활성화됨에 따라 이른 바 스테이블 코인(가격변동이 거의 없는 코인)의 시총이 1000억 달러(113조)를 돌파했으며, 이 시장이 흔들릴 경우, 암호화폐발 금융위기의 시작점이 될 수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17일 보도했다.

스테이블 코인은 가격 변동성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된 암호화폐로, 보통 1코인이 1달러의 가치를 갖도록 설계돼 있다. 즉 1달러를 1코인으로 페그(묶고)하고 있다.

테더(USDT)가 대표적인 스테이블 코인이며, 이외에도 HUSD, PAX, GUSD, USDC 등의 다양한 스테이블 코인이 있다.

최근 들어 암호화폐 거래가 폭발적으로 늚에 따라 스테이블 코인의 거래도 활성화돼 전체 스테이블 코인 시총이 1000억 달러를 돌파했다.

특히 테더는 시총이 625억 달러로 부동의 시총 3위의 암호화폐에 랭크될 정도로 인기 있는 스테이블 코인이다.

주요 암호화폐 시총 순위 - 코인마켓캡 갈무리

특히 테더가 부동의 시총 3위를 기록하고 있는 것은 테더를 통해 암호화폐 거래가 시작되기 때문이다.

현재 암호화폐 투자자들은 스테이블코인을 개설한 은행계좌에 돈을 적립해 두었다가 암호화폐에 투자하고 있다. 가격 변화가 없는 스테이블 코인으로 다른 암호화폐를 사는 것이다. 즉 스테이블 코인 보유 계좌가 암호화폐 지갑 역할을 하고 있는 셈이다.

이같이 테더는 단순한 암호화폐가 아니라 암호화폐 거래를 돕는 포털(출입구)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런 암호화폐에 이상이 생기면 전체 암호화폐 시장으로 위기가 전달될 수 있다.

테더 등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하는 업체들은 지급을 보증하고 있다. 그러나 이 업체들이 그만큼의 보유액을 싸두고 있는지는 의심스럽다. 스테이블 코인 시총이 1000억 달러를 돌파했으니 관련 업체는 1000억 달러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그래야 고객이 지급을 요구하면 언제든지 달러로 지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업체가 1000억 달러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은 크지 않다. 실제 미국의 금융 당국이 테더를 상대로 지급 준비금이 충분한가를 조사한 결과, 그렇지 못한 것으로 드러나기도 했다.

테더 투자자들이 한꺼번에 달러로 교환을 요구할 경우, 지급불능 사태에 빠질 소지가 있는 것이다. 테더가 지급불능사태에 빠지면 테더로 다른 암호화폐를 구입한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다른 암호화폐 시장으로 위기가 전염될 수밖에 없다.

이뿐 아니라 이 시장은 불법자금의 온상이 될 수 있다. 스테이블 코인의 시총이 1000억 달러를 돌파함에 따라 미국 은행 시스템을 우회해 1000억 달러 상당의 돈이 교환되는 시장이 생겼다. 그런데 이 시장은 미국 규제당국의 손길이 닿지 않는다.

이에 따라 글로벌 범죄집단은 스테이블코인 시장을 이용, 돈세탁을 비롯, 각종 불법 금융활동을 벌이고 있다.

이 같은 이유 때문에 암호화폐발 금융위기가 온다면 테더 등 스테이블 코인에서 시작할 가능성이 크다고 블룸버그는 전망했다.

sinopark@news1.kr

▶ 네이버 메인에서 [뉴스1] 구독하기!
▶ 뉴스1&BBC 한글 뉴스 ▶ 코로나19 뉴스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세계, 경제, IT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