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서방 제재 피하려고 암호화폐 기술 이용할 수도”

입력
수정2022.02.24. 오후 5:29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러시아 당국과 기업들이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서방의 경제 제재 효과를 약화시키기 위해 암호화폐 기술을 사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23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비트코인(오른쪽)과 이더리움을 각각 형상화한 이미지 컷. /트위터 캡처

통상 국가·기업간 거래는 국제금융시스템 안에서 진행된다. 하지만 암호화폐나 디지털 자산을 사고파는 거래소에서는 자금 추적이 은행보다 상대적으로 느슨하게 이뤄진다. 미국 재무부는 지난해 10월 가상화폐가 미국의 제재 프로그램에 위협이 되고 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일례로 이란과 북한은 서방의 제재 효과를 완화하기 위해 가상화폐를 사용한다. 미국과 유엔은 최근 조사를 통해 이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유엔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핵 프로그램 관련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랜섬웨어를 이용해 암호화폐를 훔쳤다.

러시아도 랜섬웨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블록체인 추적업체 ‘체이널리시스’가 지난 14일 공개한 보고서를 보면, 전 세계 랜덤웨어 수익의 74%에 해당하는 4억달러 이상의 암호화폐가 러시아와 연관된 법인에게 돌아갔다.

이란과 북한은 서방의 제재 효과를 완화하기 위해 가상화폐를 사용한다. 미국과 유엔은 최근 조사를 통해 이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유엔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핵 프로그램 관련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랜섬웨어를 이용해 암호화폐를 훔쳤다.

러시아도 랜섬웨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블록체인 추적업체 ‘체이널리시스’가 지난 14일 공개한 보고서를 보면, 전 세계 랜덤웨어 수익의 74%에 해당하는 4억달러 이상의 암호화폐가 러시아와 연관된 법인에게 돌아갔다.

국제 사회 제재를 피하기 위해 가상화폐를 이용하는 사례가 늘자 미국도 감시를 강화하고 있다. 미국 법무부는 지난 17일 가상화폐나 디지털 자산의 악용을 막기 위한 역할을 할 가상화폐단속국(NCET)을 신설했다.

야야 파누시 신미국안보센터 연구원은 “디지털 통화를 직접 교환하는 중앙은행 시스템은 새로운 위험을 초래한다”며 “이들 국가가 국제금융시스템을 피해 거래를 할 경우 미국의 제재가 갖는 힘은 약화될 수밖에 없다”고 했다.

한편 미국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분리지역 2곳의 독립을 승인하고, 파병을 지시한 것에 대응해 단계적 경제 제재 방안을 22일 발표했다. 러시아 최대 국책은행인 VEB와 방산지원 특수은행인 PSB, 그리고 이들의 자화사 42곳을 제재 대상에 올린 뒤 미국 내 보유 자산을 동결하고 미국 기업과 거래하는 것을 금지했다. 러시아 국영 가스기업인 가즈프롬도 제재 대상에 올랐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세계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