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 투자 막힌 韓 가상자산 시장, 거래소 비중 커

체이널리시스 분석…홍콩 시장 성장에도 주목

컴퓨팅입력 :2023/10/10 10:03

국내 가상자산 거래량 중 중앙화 거래소 비중이 해외보다 높은 편으로 조사됐다. 기관 투자가 제한된 국내 가상자산 규제 환경이 영향을 끼쳤다는 분석이 나왔다.

글로벌 블록체인 분석 기업 체이널리시스는 ‘2023 글로벌 가상자산 도입 지수 – 동아시아 보고서’를 10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가상자산 시장을 주도했던 동아시아는 지난 몇 년 동안 거래 비중이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시아는 지난해 7월부터 1년간 전 세계 가상자산 활동의 8.8%를 차지하며 2년 연속 거래 규모 순위가 하락해 5위를 기록했다. 

2019년까지만 해도 동아시아는 중국의 거대한 거래 활동과 채굴 부문에 힘입어 거래량 기준 가상자산 상위 시장이었다. 하지만 중국의 엄격한 규제 지속, 한국의 가상자산 규제, 테라-루나 폭락 같은 사건의 영향으로 가상자산 거래가 침체됐다고 분석됐다.

국내 가상자산 거래량의 68.9%는 중앙화 거래소를 통해 이뤄졌으며, 디파이 거래량은 훨씬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의 규제 프레임워크가 이런 결과의 주된 이유로 꼽혔다. 은행 실명계좌를 연동해서만 원화마켓 거래소를 이용할 수 있어, 기관이 가상자산 시장에 진입하는 데 장애물로 작용했다는 것이다. 실제로 거래 규모 기준 한국의 기관 거래가 아태 지역에서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플랫폼 유형별 동아시아 국가 가상자산 활동 점유율과 글로벌 평균 비교

또 다른 이유로는 테라-루나 사건 이후 한국 내 팽배해진 가상자산에 대한 부정적인 정서가 지목됐다. 테라-루나 사태 이후 한국은 준비금 보유 요건 등 중앙화 거래소에 적용되는 몇 가지 규정을 도입했다. 탈중앙화된 금융 시스템이 타격을 입은 상황에서 이런 규정들이 중앙화 거래소에 대한 신뢰를 높였을 것으로 봤다.

일본은 중앙화 거래소와 다양한 유형의 디파이 프로토콜이 거의 고르게 사용돼 글로벌 시장 추이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중국과 홍콩은 독특한 가상자산 플랫폼 사용 패턴을 보였다. 대부분의 활동이 장외거래 또는 그레이 마켓 P2P 거래를 통해 이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홍콩은 가상자산 친화적인 규제와 이니셔티브를 통해 동아시아 가상자산 시장에서 중요한 플레이어로 자리 잡았다고 진단했다. 홍콩은 실 거래량 기준 매우 활발한 가상자산 시장으로, 지난해 7월부터 1년간 약 640억 달러(약 87조원)의 가상자산이 유입된 것으로 추정됐다. 홍콩 인구가 중국 본토의 0.5%에 불과함에도 중국의 864억 달러(약 117조원)에 크게 뒤지지 않는 수치다. 거래량의 상당 부분은 홍콩의 활발한 장외거래 시장에서 발생했다.

관련기사

가상자산 세계에서 홍콩의 위상이 높아지고 최근 규제가 변경되면서 가상자산에 대한 중국의 향후 입장에 대한 추측이 쏟아지고 있다. 체이널리시스는 중국의 특별행정구라는 홍콩의 지위, 현지 가상자산 시장의 급성장을 보면 홍콩이 중국의 미래 가상자산 정책의 시험대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적었다.

동아시아 보고서 전문은 체이널리시스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