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남주현 기자 = 토스나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등과 같은 핀테크 확산이 통화정책 효과를 제약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곽보름 한국은행 거시경제연구실 부연구위원은 21일 ‘핀테크의 확산과 통화정책 파급효과 분석-BOK경제연구’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 보고서는 중국 사례를 통해 핀테크 서비스 이용 확대가 통화정책의 파급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결과다.

보고서는 중국 인민은행의 통화정책 충격에 따른 중국 내 경제변수들의 반응이 핀테크 이용량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포착하기 위해 패널 VAR(벡터자기회귀) 모형의 반응계수들이 핀테크 사용량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도록 모형을 설정을 설정했다.

조사기간은 2011년 1월 4일부터 2018년 4분기로 중국 내 제 3자급무분 1위 사업자인 알리페이(Alipay)를 통한 온라인 지급, 대출, 보험, 단기금융펀드, 투자 등의 금융서비스 이용량을 활용해 측정했다.

연구 결과 정보통신 기술을 바탕으로 온라인 결제와 대출 등 핀테크 서비스가 확산되는 경우 전통적 금융기관의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제약됐다.

핀테크 사용량의 증가로 통화정책 충격에 따라 GDP, 소비자물가지수, 은행대출, 주택가격의 반응이 유의미하게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은행 대출의 경우 반응 저하가 즉각 나타나고 오래 지속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통화정책 효과가 약화되는 이유로 핀테크 확산에 따른 신용 제약의 완화를 꼽았다. 담보가 없고, 신용도가 낮은 소규모 가계 대출이나 자영업자들의 대출 제약이 줄어든다는 점에서다.

핀테크 사용이 많아질 수록 통화정책에 민간한 은행 이용 비중이 줄어든다는 점도 또 다른 원인으로 제시됐다.

곽 부연구위원는 “핀테크 서비스의 확산이 통화정책의 파급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난 만큼, 관련 서비스의 추이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통화정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계속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njh32@newsis.com

속보는 블록미디어 텔레그램으로(클릭)